움직임

벤트오버 로우(BENT-OVER ROWS) 자세 및 큐

PrincipleQ 2021. 4. 20. 15:03

프리웨이트로 할 수 있는 등 운동 중

아마 가장 난이도가 있는 운동이 아닐까 싶다.

 

벤트오버 로우

 

초급자는 자극점을 찾기 쉽지 않고 

중상급자 이상부터 운동하는 걸 추천한다.

 

잘못하면 무게를 허리로 버티게 되어 

허리에 많은 부담이 된다. 

 

벤트오버 로우 자세를 자세히 한 번 알아보자 

 

웨이트 자세 찾을 때 자주 찾아보는 유튜버다. 

홈페이지도 운영하고 있고 해외에선 꽤나 많은 구독자수를 보유하고 있다. 

구독자수가 많다고 퀄리티가 좋은 건 아니지만, 

이 사람꺼는 신뢰도가 꽤나 높다.

 

참조사이트 : builtwithscience.com/how-to-do-barbell-rows/

The Ultimate Guide On How To Do Barbell Rows To Build A Bigger Back

…and we’ll show you step by step how to transform your body as fast as possible with science.

builtwithscience.com

 

1) 설정

먼저 바벨 로우를 최적으로 설정하는 방법부터 알아보자

곧 알게 되겠지만 단계는 타깃 부위(목표 설정)에 따라 달라진다.

 

 

 

스텝1: 셋업 

 

발을 엉덩이 너비보다 약간 넓게 배치하여 발을 바로 잡는다.

 

발을 엉덩이 너비보다 약간 넓게 배치하여 자세를 잡는다.

일반적으로 발 자세는 어깨 너비보다 좁아야 한다.

 

하지만  키가 큰 사람은 더 넓은 위치가 나을 수 있다.

발을 바깥쪽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움직임이 편해진다.

아래를 내려다 봤을때 바는 발 중간 부분부터 발가락 부분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. 

 

 

셋업1: 발 위치

 

그립 너비(위치)

 

이제 바를 잡을 시간이다.

일반적으로 무릎 너비 바로 바깥쪽에 막대를 잡는다.

훈련 목표와 가장 편안한 느낌에 따라 그립의 너비를 실험해본다.

 

예를 들어, 넓은 그립을 사용하면 바를 흉골 쪽으로 더 높이 당기고 팔꿈치 각이 더 벌어진다.

결과적으로 더 중요한 횡 방향 확장은 더 많은 후방 삼각근 및 전반적인 상부 등 근육에 타격을 줄 수 있다.

 

 

와이드 그립 너비

 

반면, 그립이 좁으면 바를 배꼽 쪽으로 아래로 당기고 팔꿈치를 옆구리에 더 가깝게 넣을 수 있다.

따라서 어깨 확장을 더 많이 할수록 광배가 기계적으로 더 유리한 위치에 있게 된다.

이 변형을 통해 광배 개발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.

 

 

내로우 그립 너비

 

언더 핸드 또는 오버 핸드 그립

언더 핸드 또는 오버 핸드 그립 왜 하는가?

언더 핸드 그립을 사용하면 팔꿈치를 측면에 더 가깝게 접을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광배의 타깃 지점의 우선순위를 가져갈 수 있지만 이두근의 참여도가 높아진다.

 

 

내로우/언더핸드 그립

 

 

스타팅 포지션

셋업은 가장 중요하다.

데드리프트를 하는 자세로 수행하는 게 일반적이다.

그렇게 할 때 등 자세가 중립자세여야 한다.

다음으로, 바벨을 아래로 내리면서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엉덩이를 뒤로 밀어준다.

햄스트링의 유연성이 허락하는 만큼 등을 둥글게 되기 전까지,

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지점에서 멈춰야 한다.

대부분의 사람들에게 15도에서 45도 정도의 각도가 일반적이다.

 

그러나 유연성이 향상되고 바벨 로우를 수행하는 방법에 더 능숙 해짐에 따라

점차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시도할 수 있다.

가동 범위가 증가하면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타겟팅 할 수 있다.

 

 

스타팅 포지션

 

 

2) 로우 (동심 운동)

첫째, 복근을 수축시켜 코어를 단단하게 유지하라.

누군가가 당신의 배에 펀치를 날린다 고 상상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.

그런 다음 팔꿈치를 위로 올리거나 약간 뒤로 젖힌다 생각하면서 무게를 늘려야 한다.

바가 몸통에 닿기 직전에 동작을 중지하라.

 

 

로우 자세 1
로우 자세2

 

 

3) 하강 (편심 열)

바벨 로우를 하는 마지막 단계다.

여기서는 코어를 계속 사용하고 엉덩이, 등, 머리의 정렬을 유지하면서 무게중심을 뒤로 아래로 한다.

팔이 곧게 될 때까지 계속 하강한다.

무게를 내리면서 견갑이 자연스럽게 펴지게 해야 한다. 

하단 위치에서 다음 반복을 시작하기 전 이두근의 관여를 최소화하고

등의 활성화를 최대화하기 위해 삼두근을 활성화(축소)해야 한다.

 

 

하강